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Tech25

SGE : 구글이 검색 엔진 왕좌를 지키기 위한 새로운 무기 구글, 검색 엔진 왕좌의 자리는 내줄 수 없다. 저는 앞서 "ChatGPT, 정말 검색 엔진 시장의 판도를 바꿨나?" 라는 글을 작성한 바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의 빙(Bing)이 ChatGPT를 도입하여 구글에 도전했지만 실패에 그쳤다는 이야기를 다루었습니다. 사진 삭제 구글 I/O 2023 中 이러한 상황에서 구글은 새로운 전략인 SGE(Search Generative Experience)라는 개념을 도입하며 왕좌의 자리를 더욱 공고히 하고자 하는 모습입니다. 최근에는 SGE의 사업 영역을 인도와 일본으로 확장하면서 검색 엔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끌어 가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GE가 무엇인지, 구글이 이를 통해 검색 엔진 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주게 될 것인지 이야기해 보.. 2023. 9. 5.
지속되는 미중 반도체 전쟁, 한국은 문제없나? 현대사회의 필수재, 반도체 반도체는 스마트폰, 노트북 등의 개인용 전자기기부터 자동차, 첨단 군사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그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원활한 공급이 어려워지는 사태에 이르렀고,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는 반도체 수급이 어려워지자 계약 후 몇 년이 지나서야 출고 받는 경우가 생기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반도체는 그 중요성 때문에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엄격한 관리와 통제를 받고 있습니다. 관련하여 최근 미국과 중국은 반도체 전쟁이라 일컬어지는 경쟁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는 점점 더 격화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역시 '반도체 강국'으로 분류되기에 이러한 국제적인 경쟁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데요. 오늘은 '반도체 전쟁'이 왜 벌어졌는지 알아보고, 우리.. 2023. 8. 30.
AppleGPT, 애플이 하면 다를까? 미래의 왕좌는? 지난 5월, 골드만삭스 행사에 참여한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인 빌 게이츠는 "Future top company in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likely have created a personal digital agent that can perform certain tasks for people"라 말했습니다. 의역하자면, "사람들을 위한 개인 디지털 비서를 만드는 기업이 인공지능(AI) 분야의 미래를 선도할 것" 정도가 될 것 같네요. 그리고 이러한 미래의 왕좌를 차지하기 위한 애플의 움직임이 포착되었습니다. (출처 : CNBC) Bloomberg에 따르면, 아직 개발 초기 단계이기는 하지만 애플이 "Ajax"라는 자체 구축 프레임워크를 통해 "AppleGPT".. 2023. 8. 1.
ChatGPT가 맞이한 첫 번째 위기 : 성능 저하 논란 혹시 최근에 GPT-4 버전의 ChatGPT를 사용하다가 성능이 이상하다고 느끼신 분들 계신가요? 저는 ChatGPT Plus 구독을 해놓고 평소에 자주 사용하고 있는데, 최근 답변의 성능이 떨어지는 듯한 느낌을 받음과 동시에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대형 언어 모델(LLM)이 많아 구독을 취소해야 하나 싶은 마음이 들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저만 그렇게 생각한 것이 아니라, GPT-4 버전의 성능이 저하되었다는 주장과 연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19일(현지시간) 논문 공유 사이트 '아카이브(arXiv)'에 실린 스탠퍼드대학과 UC버클리대학의 연구 논문에 따르면 GPT-4 버전의 답변 능력이 3개월 전보다 떨어졌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논문에는 4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성능을 비교하였는데, .. 2023. 7. 21.
ChatGPT, 정말 검색 엔진 시장 판도를 바꿨을까? '검색 대신 채팅' 빙챗의 성공에 위협받는 구글의 SEO 'ChatGPT'는 기존 검색 엔진을 대체할 수 있을까? 'ChatGPT'는 구글의 시대를 끝낼까? 검색엔진은 종말을 맞이할 것이다. ... ChatGPT가 출시되고, 빙과 결합하기 시작한 시점에 나온 기사 제목들입니다. 생성형 AI 시대의 시작을 알리며 화려하게 출발한 ChatGPT의 기세는 매우 강렬했고, 구글이 점령하고 있는 검색 엔진 시장의 균열을 내는 것은 아닌지 기대하게 만들었습니다. 빙챗이 출시된 지 약 6개월이 지난 지금, 과연 그 기대가 현실로 이루어졌을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그렇지 않습니다. Statcounter Globalstats에 따르면, ChatGPT 출시 직전 92.21%의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던 구글은 23년 6월.. 2023. 7. 16.
구글의 Anthropic vs MS의 Inflection, 다음 세대 AI 챗봇 대전의 승자는? 생성형 AI 챗봇 대전 OpenAI(Microsoft)의 ChatGPT와 Google의 Bard가 생성형 AI 챗봇 대전의 서막을 열었다면, 이제는 그들이 지원하는 기업들 간의 치열한 경쟁이 예고되고 있습니다. 최근 Techcrunch 기사에 따르면, 'Inflection'은 마이크로소프트와 엔비디아 등으로부터 13억 달러의 투자를 받았고, 이로써 누적 투자액은 15.25억 달러가 되었습니다. 흥미로운 것은 구글이 투자한 AI 챗봇 기업 'Anthropic'의 누적 투자액이 15억 달러인데, 이를 근소하게 넘어서며 OpenAI(113억 달러)에 이어 누적 투자액 2위에 올라섰다는 점입니다. 이런 변화는 새로운 경쟁 구도가 열리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암시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투자 금액만으로 경쟁 구도를 붙.. 2023. 7.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