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Tech25

코로나는 테크 산업에 어떤 영향을 주었을까? 코로나 종식 중대본은 23년 6월 1일 자를 기준으로 코로나19 위기 단계를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미 WHO에서는 23년 5월 5일 자를 기준으로 팬데믹 해제를 발표했고, 미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에서도 대부분 사실상 종식을 선언하고 있습니다. 최근 한국에서도 체감상 마스크를 착용한 사람보다 미착용한 사람이 더 많이 보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엔데믹 시대를 기념하며, 약 3년 6개월간 이어진 코로나로 인해 테크 산업 지형도가 어떻게 바뀌었는지 짚어보고자 합니다. 테크 산업의 변화 1) 원격 근무 및 원격 교육 코로나19가 만든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많은 기업들이 재택근무를 도입하게 되었고, 교육 분야에서는 온라인 수업이 강화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원격 협업 도구, 온라인 .. 2023. 6. 13.
AI, 메타버스도 구할 수 있을까? 메타버스의 등장 많은 분들이 아시다시피 COVID-19으로 시작된 '언택트'라는 개념은 사람들을 가상 세계로 불러 모았습니다. 그중에 특히 메타버스는 기존에 있었던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새로운 기술인 것처럼 포장되어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수많은 언론 매체에서는 앞으로 몇 년간 메타버스가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예측과 전망을 앞다퉈 내놓았고, 페이스북이 사명을 '메타'라고 바꾸면서 이러한 전망에 화룡점정을 찍었습니다. 메타가 사명을 바꾼 뒤 약 1년 6개월이 지난 지금, 메타버스는 현재 어떤 상황에 놓여있을까요? 데이터로 보는 메타버스의 흥망성쇠 우선 체감하기에 메타버스의 열기는 많이 누그러진 듯합니다. 관련해서 미국의 경제 전문 미디어 '인사이더(Insider)'에서는 'RIP Meta.. 2023. 6. 13.
ChatGPT가 촉발한 '더 크게' 전쟁, 이제는 '더 작게' 전쟁의 시작 '더 크게' 전쟁의 서막 ChatGPT로 대표되는 LLM(Lagre Language Models),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대량의 언어 파라미터를 학습 시킨 모델을 말합니다. 지금까지는 파라미터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성능이 높아지는 모습을 보여주었기에 거대 빅테크 기업들은 '더 많이, 더 크게 경쟁'을 벌여왔습니다. 그 결과 모델의 크기가 굉장히 비대해져 갔습니다. 그러나 모델의 크기가 비대해질수록 개발 및 운용 비용도 같이 증가하였고, 딥러닝의 복잡성으로 인해 모델을 이해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졌습니다. 기업들도 이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으나 높은 성능이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는 데 중요했으므로, 비용을 쏟아부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런 경쟁 속에서 이득을 보는 것은 NVIDIA 뿐이었습니.. 2023. 6. 10.
현충일이 지정된 1956년, 지구 반대편에선 컴퓨터 혁명이 시작되다. 현충일 오늘은 제68회 현충일입니다. 현충일은 1956년 6월 6일에 처음 지정되었습니다. 6월 6일은 조선시대에 병사들의 유해를 안장하던 날이었고, 6.25전쟁으로 가장 많은 장병들이 희생되었기 때문에, 정부는 6월 6일을 현충기념일로 지정하게 되었습니다. 한국에서 전쟁의 아픔을 채 묻기도 전인 1956년, 지구 반대편 미국에서는 컴퓨터 혁명이 시작됐습니다. 1956년 9월 14일, IBM에서 약 5MB의 용량을 가진 최초의 하드디스크 '305 RAMAC(이하 라막)'을 발표했습니다. 지금이야 5MB는 모바일 사진 한 장 정도의 크기에 불과하지만, 당시로서는 매우 큰 용량의 하드디스크였습니다. 이 제품은 그 기능과 용량으로 인해 컴퓨터 업계에 혁명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IBM은 이 하드디스크를.. 2023. 6. 6.
AI의 무서운 발전 속도, 하지만 여전히 '흑인=고릴라?' ChatGPT의 출시로 인해 AI에 대한 관심도가 증폭하고 있는 가운데, 다른 한편에서는 AI로 인해 세계 각국에서 무서운 일들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펜타곤 폭발? 위 사진은 미국 펜타곤의 폭발 사진입니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미 증시가 일시적으로 출렁이기도 했습니다. 예상하셨겠지만, 이 사진은 AI로 만든 가짜 사진입니다. 해당 사진은 미국 내 음모론자들이 추종하는 트위터 계정 '@CBKNews121'에 오전 8시 42분에 게시됐습니다. 이로 인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0.3% 정도 떨어졌다가 회복했고, 안전 자산인 미국 국채와 금의 가격이 잠시 상승하기도 했습니다. 이후 미국 정부가 대응하며 일단락되었지만, AI가 생성한 가짜뉴스가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가지는지를 간접적으로 체험할.. 2023. 6. 4.
AI, 그래서 뭐가 위험하다는 걸까? 저는 앞서 AI의 위험성에 대한 글을 올렸습니다. 오늘은 그래서 정확히 어떤 점 때문에 위험한 것인지, 어떤 위기가 초래될 수 있는지에 대해 짚어보고자 합니다. 정보의 오류 ChatGPT로 대표되는 LLM(대형언어모델)의 정확도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높은 정확도가 독이 될 수 있습니다. 정확도가 높으면 신뢰도가 상승하고, 신뢰도가 상승하면 검증에 소홀해지기 때문입니다. 잘 알다시피 AI가 내놓는 답변은 기존의 '사람'들이 작성한 정보를 학습하여 내놓은 답변입니다. 그러나 이렇게 학습된 정보가 100% 정확하다는 근거는 없으며, 학습 과정에서 불필요한 선입견이 생길 수 있습니다. 만약 정확한 내용을 학습했더라도 답변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근거가 .. 2023. 6.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