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6 OpenAI 사태로 보는 씁쓸한 기술 너드 잔혹사 경영너드 vs 기술너드 "애플의 창업자는 누구일까요?" 이 문제를 들은 사람의 대부분은 자신 있게 '스티브 잡스'라고 대답할 겁니다. 하지만, "스티브 잡스와 함께 애플을 공동 창업한 인물은 누구일까요?" 라고 문제를 낸다면 아마 정답률이 현저히 떨어질 것 같은데요. 사실 애플은 스티브 잡스 외에도 '스티브 워즈니악(Steve Wozniak)'과 '로널드 웨인(Ronald G. Wayne)'이 함께 창업한 회사입니다. (이후 로널드 웨인은 11일 만에 회사를 떠나며 실질적으로는 잡스와 워즈니악이 창업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워즈니악은 뛰어난 개발 실력과 특유의 창의력을 바탕으로 애플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지만, 잡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기술 너드'.. 2023. 11. 26. 가장 쉽게 알아 보는 OpenAI 샘 올트먼 해임 사건 지난주 금요일(17일), ChatGPT의 아버지라 불리는 샘 올트먼이 갑작스레 해임을 당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이는 과거 스티브 잡스가 애플에서 쫓겨난 것에 버금갈 만큼 전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았는데요. 워낙 충격적인 소식이었고, 정신없이 전개되는 상황 덕에 마치 드라마틱한 소설 한 편을 보는 듯했습니다. 워낙 빠르게 많은 사건들이 소용돌이쳤기 때문에 잘 정리가 되지 않는 분들이 계실 것 같은데요. 이런 분들을 위해 지금까지 있었던 소식을 타임라인에 맞춰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해가 쉽게 잘 되도록 실제 있었던 일들에 약간의 상상력을 더해 소설처럼 각색해 보았는데요. 대화 형식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일부 과장이 된 부분도 있고, 실제로는 언급되지 않은 부분이 있을 수 있으나, 큰 맥락에서는 실제 .. 2023. 11. 21. OpenAI 샘 올트먼 해고, 오히려 좋아? 지난 17일(현지시간) 공개된 OpenAI CEO 샘 올트먼의 해고 소식은 체감상 ChatGPT가 출시됐을 때보다 더 큰 충격이었던 것 같습니다. 이 소식이 세상에 알려진 것은 금요일이었지만, 워낙 빅이슈였기에 주말에도 수많은 기사들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해고 당시 구체적인 사유가 전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많은 루머가 돌기 시작했는데요. 그중에 가장 설득력이 있는 이유는 샘 올트먼이 점차 영리를 추구하기 시작하자 비영리 지향의 OpenAI 이사회와 많은 충돌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제가 보기에도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기업인 OpenAI가 샘 올트먼과 같은 상징성 있는 인물을 이런 식으로 해고한 데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을 거라 짐작했고, 크게 동요하지 않는 듯한 샘 올트먼의 모습을.. 2023. 11. 19. 생성형 AI, 다음 격전지는 온-디바이스(On-Device) 지난 14~15일에 열린 '삼성개발자콘퍼런스2023'에서 의미 있는 내용이 발표되었습니다. 삼성전자에서 자체 개발한 생성형 AI, '삼성 가우스'를 활용하여 온-디바이스(On-Device) 시대를 여는 로드맵을 제시한 것인데요. 키노트를 발표한 이주형 삼성리서치 상무는 삼성 가우스에 대해 "이 기술은 단순한 언어 이해하고 생성하는 것을 넘어 사용자와 기기 간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하여 더 직관적이고 자연스러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실 이번 발표는 어느 정도 예정된 수순의 내용이었습니다. 작년 이맘때쯤(22년 11월 30일) 발표된 ChatGPT의 엄청난 성공 이후, 모든 기업이 생성형 AI 시장에 뛰어들었습니다. 대표적으로 구글과 메타와 같은 빅테크 기업들은 생성형 AI의 거대한 물.. 2023. 11. 17. OpenAI에서 Apple의 향기가 난다 ChatGPT가 출시된 지 약 1년 후 OpenAI에서는 첫 번째 개발자 컨퍼런스(DevDay)를 개최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OpenAI는 GPT-4 Turbo, 스토어 출시 등의 주요한 개발&사업 전략에 대해 발표했는데요. 발표를 다 보고 나니 OpenAI에서 왜인지 모르게 Apple의 향기가 느껴졌습니다. 왜 그럴까 곱씹어 생각해 보면서 두 기업 간의 몇 가지 공통점이 발견했는데요.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술 혁명 많은 사람들이 인정하는 기술 혁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 인터넷 혁명(익스플로러) - 스마트폰 혁명(아이폰) - 생성형 AI 혁명(ChatGPT) 이처럼 최근 40년 간 인정받은 기술 혁명은 단 세 차례에 불과합니다. 그동안 수천, 수만 개의 기업이 기술 혁명에 도전했지만, 오.. 2023. 11. 8. 내가 하는 일은 AI와 관련이 없다는 착각 혹은 외면 AI의 영향력 2022년 11월 30일. ChatGPT가 등장한 날입니다. 등장과 동시에 센세이션을 일으키며 세간의 관심을 집중시킨 ChatGPT는 2023년을 생성형 AI의 시대로 만들었으며, 1년이 지난 지금은 생성형 AI 뿐만 아니라 AI의 전 영역으로 관심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AI의 대한 관심은 내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매년 다음 해의 기술 트렌드를 예측하여 발표하는 세계적인 조사기관 가트너는 올해에도 예외 없이 2024년 주요 기술 트렌드를 발표했습니다. 10가지로 구성된 기술 트렌드를 잘 살펴보면, 대부분 AI와 관련된 전략으로 구성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민주화된 AI(Democratized AI), AI 증강 개발(AI-Augmented Developm.. 2023. 10. 30. 이전 1 2 3 4 5 ··· 1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