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llm2

'ChatGPT' 숫자로 알아보는 6개월간의 여정 지난 2022년 11월 ChatGPT가 출시된 이후 약 6개월의 시간이 흘렀습니다. 출시 초기에는 전례 없는 인공지능(AI) 기술이 등장했다는 소식에 대해 흥미와 두려움이 공존하였습니다. 그중 일부는 인류의 종말론까지 거론하기도 했지만, 우려했던 것과는 달리 최악의 상황으로 이어지지는 않는 모습이며, 이제는 그 당시의 열기가 잠시 가라앉은 듯합니다. 오늘은 숫자를 키워드로 ChatGPT 출시 후 6개월간 무슨 일이 있었는지, 주요 여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숫자 '2' ChatGPT는 출시 후 단 '2'개월 만에 월간 MAU 1억 명을 달성했습니다. 인터넷 탄생 이후 20년 동안 이보다 더 빠르게 이용자를 확보한 앱은 없었습니다. 특히 사용자 100만 명을 모으는데 걸린 시간은 단 5일에 불.. 2023. 6. 28.
ChatGPT가 촉발한 '더 크게' 전쟁, 이제는 '더 작게' 전쟁의 시작 '더 크게' 전쟁의 서막 ChatGPT로 대표되는 LLM(Lagre Language Models),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대량의 언어 파라미터를 학습 시킨 모델을 말합니다. 지금까지는 파라미터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성능이 높아지는 모습을 보여주었기에 거대 빅테크 기업들은 '더 많이, 더 크게 경쟁'을 벌여왔습니다. 그 결과 모델의 크기가 굉장히 비대해져 갔습니다. 그러나 모델의 크기가 비대해질수록 개발 및 운용 비용도 같이 증가하였고, 딥러닝의 복잡성으로 인해 모델을 이해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졌습니다. 기업들도 이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으나 높은 성능이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는 데 중요했으므로, 비용을 쏟아부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런 경쟁 속에서 이득을 보는 것은 NVIDIA 뿐이었습니.. 2023. 6. 10.
반응형